1년 100권 이상 읽기 프로젝트 10년 후기

2013년에 시작한 “1년에 100권 이상 읽기 프로젝트”가 지난 2022년말을 기준으로 딱 10년이 되었다. 

책읽는 게 뭐 대단한 일이라고… 그냥 조용히 넘어가자… 라고 생각했다가, 10 이라는 숫자에 신경이 쓰여 이렇게 후기를 남긴다. 

1. 우선, 지난 10년간 몇 권을 읽었나? 

10년간 읽은 책 리스트를 더하면, 총 1,150권이 된다. 

하지만 그 중에는 두번씩 읽은 책도 있으므로, 재독 비율을 대략 5%로 잡고(그냥 대충 잡은 거임. 정확히는 잘 모름), 1,150권에서 56권을 뺀 1,094권이 지난 10년간 읽은 책이라고 할 수 있겠다. 생각보다는 많지 않군.

2. 읽은 책들은 어떤 경로로 얻게 되었나?

70% 이상은 구입해서 읽은 것 같다 (안 세어봐서 정확히는 모르지만…). 나머지는 리디셀렉트로읽거나, 지인에게 빌려서 보거나 했다. 

3. 읽을 책은 어떻게 선정하나?

인터넷 서점을 둘러보다가 흥미로운 제목의 책이 보이면, 세부사항을 살펴보고 맘에 들면 구입 후읽는다. 

읽고 있는 책에서 인용된 책이나, 작가의 또 다른 책을 읽는다. 

좋아하는 책 블로거가 추천하거나  TV의 책소개 프로그램에 나온 책을 사서 본다. 

친구가 추천해주는 책을 읽는다. 

독서 모임에서 읽기로 한 책을 읽는다. 등등

4. 프로젝트를 통해 얻게 된 이점은?

다양한 장르의 책을 읽게 되었다. 전에는 인문 사회과학에 편중된 독서를 했었는데, 100권 프로젝트 덕에 세계문학, 자연과학, 경제 경영, 자기계발 등등 전에는 거의 읽지 않았던 영역의 책도 읽게되었다. 특히 추리미스테리스릴러와 SF의 재미를 알게 된 것이 큰 수확이다.  

또한, 고전문학에 대한 편견을 깰 수 있었다. 사실 클래식은 재밌다. 그래서 살아남아 클래식이 된것 같다. 

마지막으로 자연과학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뿌듯한 마음도 들었지만, 아쉬운 마음도 들었는데, 그건 바로 이렇게 유익한 책들을 나는 왜 이제서야 읽고 있는가에 대한 후회였다.  

5. 프로젝트의 단점은?

장점이 대부분인 프로젝트였지만, 단점이 아예 없지는 않았으니….나의 무의식이 두꺼운 책들을 기피했던 것 같다. 사 놓고 안 읽은 책들 중에 두툼한 책들이 많은 걸 보니 말이다. 500p. 정도의 책까지는 그냥 고민하지 않고 읽은 것 같은데, 600-700p. 정도는 한 해의 하반기에 들어서면 읽을까 말까 고민을 많이 했다. 결국 과감하게 읽기도 했지만, 권수의 압박에 포기하기도 했다. 1000p.에 육박하는 책들은 아예 펼쳐 볼 엄두도 못 내었고 말이다. 

6. 앞으로도 계속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인지? 

사실 고민중이다. 두꺼운 책들이 나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는 것 같아서이다. 일단 2023년에는100권을 목표로 하지 않을 생각이다. 대신 너무 두꺼워서 나에게서 외면 당했던 책들을 읽으려고 한다. 그 첫번째 책이 “괴델, 에셔, 바흐”이다. 2009년에 한 번 읽었는데, 그 당시 완독하는 데 4달이 걸렸었다(어려워서 읽다 쉬다 읽다 쉬다 했음). 새 번역본이 나와서 사 놓은 지 몇 년이 지났는데 꼭 다시 읽어 보고 싶다. 얼마 전에 구입한 “다락방의 미친 여자”도 너무 너무 읽고 싶고. 

7. 읽은 책들 중 추천하고 싶은 책은?

이 글을 시작할 때는 내가 읽은 책들 중에 재밌었던 책들을 장르별 혹은 연도별로 추천해야겠다 생각을 했었다. 

그런데 읽은 책 리스트를 보다 보니까 추천하고 싶은 책이 너무 너무 너무 많고, 이걸 다 적자니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될 것 같아서 아쉽지만 책 추천은 나중에 시간 날 때 하도록 하겠다. 

대신, 여기 블로그 메뉴 중   REVIEW 를  클릭하시면, 간단한 독서감상문 혹은 요약문 등등이 있으니 심심할 때 둘러보시길…^^ 

Untitled

2D Animation

2022/23 겨울 애니메이션 세 번째

지난번에 얼굴이 전혀 안 움직여서 어색했던 걸 보완하고자, 이번에는 얼굴을 돌려보았습니다.

그런데 이게 생각보다 까다로운 작업이었습니다.

화장품 광고 여러개 참고해서 스케치했습니다. 

지난 번과 마찬가지로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로 옆 모습, 반 옆모습, 앞모습 얼굴을 그렸고요.

중간 움직임은 애프터 이펙트로 작업했습니다.  

앞머리 흩날리는 것도 아직은 어색하기만 하네요.ㅜㅜ 

자꾸 자꾸 하다보면 언젠가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겠죠?

이렇게 추운 겨울, 저는 집안에서 컴퓨터만 보면서 잘 지내고 있습니다. 

Untitled

Loop Animation

2022/23 겨울나기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두번째.

나른한 느낌을 표현보고 싶어 만든 애니메이션입니다.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로 그림을 그렸고요, 애프터이펙트로 움직임을 주었습니다.

얼굴이랑 눈코입 다 가만히 있는데, 눈동자만 움직이고 있어서 좀 어색해 보입니다만…^^

제가 아직 초보라는 거 잊지 마시고, 꼭 감안하고 감상해 주세요.^^

A Gift for You

Loop Morphing Animation

한 동안 쉬었던 애니메이션 만들기를 다시 시작했어요.

길고 춥고 어둡고 우울한 겨울을 이겨내기 위한 저의 자구책이죠.

애니메이션 만든다고 컴퓨터 붙잡고 있으면 시간이 금새 지나가거든요.^^

http://domestika.org 라는 인터넷 취미 온라인 강의 사이트에서 애니메이션 강의 몇 개를 듣기 시작했어요.

그 중 Yukai du ( http://instagram.com/yukai_du )라는 선생님의 강좌를 듣고 첫번째 과제물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아직은 많이 어설픕니다. 초보인 거 감안하고 감상해 주세요!!

이렇게 시작한 거 이번 겨울 동안에 다양한 애니메이션들을 만들 예정입니다.

선생님들마다 스타일이 다 다르기 때문에 제 결과물들도 다 다른 스타일로 만들어지겠죠?

소녀 캐릭터와 선물은 일러스트레이터로 작업했고요, 몰핑 과정은 포토샵으로 한 땀 한 땀 그렸어요. 그리고 전체적인 애니메이션은 애프터이펙트에서 마무리했습니다.

세련되고 멋진 애니메이션은 아니지만, 아마추어 정신으로 과정을 즐기며 재밌게 작업해 보렵니다.

보자기 스타일 컵받침 만들기 워크샵 후기

보자기 스타일로 만든 모시 컵받침

지난 10월 1일 바느질 워크샵을 진행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보자기 스타일로 작은 컵받침을 만드는 체험학습이었다. 

베를린에 있는 한국문화원에서는 10월쯤 Open House Day 행사를 하는데, 그 때 독일 방문객들에게 한국문화를 소개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그러한 프로그램의 하나로 보자기 바느질 워크샵이 개설되었고, 내가 강의를 맡게 되었다.

바느질을 이십년정도 하긴 했지만, 보자기 전문가도 아닌 내가 왜 강의를 맡게 되었을까? 그건 순전히 이 곳이 베를린이기 때문이었다. 한 15년쯤 전에 바로 이 문화원에서 규방공예와 보자기 수업을 한 1년반 정도 배웠었는데, 그게 내가 바로 수업을 맡게 된 이유였다.   베를린의 한인사회라는 작은 풀(Pool) 안에서 보자기 바느질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많지는 않을테니 말이다.

나는 베를린의 삶을 좋아하면서도 불만을 같이 가지고 있었는데, 뭔가 새로운 일을 도모 하기에는 외국에 사는 생활이 너무 고립된 섬 같았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또 반대로 이 곳이 섬 같은 곳이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경험하지 못할 기회들이 찾아오기도 하는데, 이번이 바로 그런 경우였다. 

바느질 수업을 준비하는 일은 그렇게 어려운 일은 아니었다. 하지만 내가 수업을 맡겠다고 했을때는 생각도 하지 못했던 엄청난 복병이 매복해 있었다. 그것도 세가지나 되는 복병이.

첫째, 바느질 관련 독일어 단어들을 내가 모르고 살았다는 점이었다.  

독일 사람들을 가르쳐야 하는데, 보통의 독일 사람들도 바느질과 관련된 단어들은 잘 모른다는 게 문제였고… 내가 가지고 있는 사전에서도 바느질 관련 단어들은 쉽게 찾을 수 없었다. 이렇게 저렇게 구글링을 해서, 어렵사리 알아내야 했는데  엄청난 시간이 소요되었다. (한 16년쯤 전에 독일에서 바느질을 배운 적이 있었는데, 그 때 배우면서 메모 좀 해 둘 걸 ㅜㅜ ) 어쨌든 한고개는 넘었다.

두번째 복병 역시 독일어와 관련된 것으로, 독일어가 짧으니 차라리 설명서를 만들어서 나눠줘야겠다는 나름 현명한 방법을 생각해 냈지만, 설명서 만드는 일이 그리 호락호락한 일이 아니었다는점이다.  

어떤 행위를 글로 설명한다는 것은 정말로 쉬운 일이 아닌 것이, 내가 바느질을 할 때 하는 행동들은 거의 무의식적으로 이뤄지는데, 이걸 하나 하나 의식하며 글로 적으려니 너무 길어지는 것이었다. 그렇다고 무한정으로 길게 쓸 수 없으니 줄여야하는데, 무언가를 늘이는 것보다 줄이는 데에 뇌의  에너지가 더 소요된다는 것을 확실히 느낄 수 있었다. 암튼 구글 번역과 아들의 도움으로 설명서는 어찌 어찌 만들었다. 두번째 고개도 겨우 넘고…

마지막 복병은 조금 슬픈 내용인데, 바로 나의 뇌의 노화였다. 

앞서도 적었듯이 독일어로 수업하는 게 너무 스트레스인지라, 강의 내용을 구글 번역기를 돌려가며 미리 독일어로 다 적어두고 외우려고 했는데, 수업 전날 텍스트를 외우려고 부단히 노력한 결과, 현재의 내 머리는 이 텍스트들을 담을 만한 그릇이 못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세번째 고개는 아쉽지만 그렇게 넘지 못하고 포기하고 말았다.

결국, 수업을 시작하며 참여하신 분들께 양해를 구하고 내가 적어간 텍스트를 보고 읽으며 수업을 진행했다.(마음 넓은 참여자 분들께 감사^^) 수업 중반 이후에는 그냥 “제가 하는 방법 보여드릴께요” 라고 하면서 말없이 보여주는 기술을 활용했다. 수업 며칠 전에 나랑 만나서 미리 보자기 만드는 방법을 배워둔 독일인 인턴사원이 도와주지 않았다면, 나는 정말 식은땀으로 목욕을 해야만 했을 것이다. 

이렇듯 복병이 숨어있긴 했지만, 그래도 나에게는 아주 재밌는 경험이었다. 수강생들이 인구통계학적으로 아주 흥미로운 조합을 이루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야 말로 남녀노소 가리지 않은 데다가 독일인 한국인 외에도 다양한 국적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이 함께 했다. 바느질 수업에는 여성들만 참여할 것이다 라는 나의 편견도 확실히 무너졌는데, 꽤 많은 퍼센트의 아저씨들이 함께 했기 때문이다.   

문화원 행사에는 내가 막연히 생각했던 것보다는 꽤 많은 사람들이 찾아왔다. 이 광경을 보니 참으로 내가 넓게 살지 못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한국에서는 한국만, 독일에서는 독일과 한국만 생각하고 살았는데, 독일에 사는 다른 국적의 사람들도 많이 찾아오는 걸 보니, 나는 왜 다른 나라 문화원에 가서 그 나라 문화를 체험할 생각을 한번도 안해봤을까 하는 회의가 들었다. 

수업 중 수강생들 사이를 왔다갔다 하며 들은 바에 따르면 많은 이들이 케이팝을 시작으로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갖는 수순을 따르는 것 같다. 30대 초반으로 보이는 한 여성분이랑 (20대일지도 모르겠다) 20대로 보이는 여성 두 분이 대화를 나누는 데, 케이팝 그룹들의 이름이 계속 오갔다. 그 중한 분이 말하기를, 자기는 케이팝을 전혀 몰랐다고 한다. 그러다가 맥도날드에서 BTS 메뉴를 파는걸 보고, BTS가 누굴까 궁금해서 찾아보다가, BTS의 팬이 되고 한국문화의 팬이 되었다고 한다. 이런 얘기 듣고 있으면 국뽕이 절로 차오르면서, BTS에게 감사한 마음을 갖게 된다. 

그건 그렇고, 그래서 수업은 성과가 있었나? 솔직히 말하면, 전체 32명의 수강생 중 컵받침을 완성한 사람은 단 2명이었다. 그 점은 아쉽다. 우리나라의 전통 감침질은 손이 많이 가는 바느질이다. 그래서 작은 소품이라도 하나를 완성하려면 긴 시간의 집중이 필요하다. 집에서 다들 완성 하셨길 바란다. 크리스마스 때 친구에게 선물할 거라고 하신 분! 꼭 완성하셔서 친구분께 뜻깊은 선물 하시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