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행 추억하기
여행 추억하기
여행 추억하기
여행 추억하기
Das Hundertwasserhaus in Wien
그림도구 : Tayasui Sketches
2008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놀러갔다가 방문했던 훈데르트바써하우스를 그려보았다.
이 집은 오스트리아의 유명한 예술가이가 건축가인 훈데르트바써(Hundertwasser)가 설계해서 1985년에 완공한 아파트이다.
일반적인 건축규범을 따르지 않은 이 건물은 건물 외양의 독특함과 다양한 칼라로 유명하다.
거기에 더해 나무들이 집 내부와 지붕에서도 자라고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창 밖으로 나무가지와 잎사귀들이 불쑥 나와있기도 하다.
물론 사람들이 살고 있는 집이라 내부를 볼 수는 없다.
아파트 맞은 편에 훈데르트바써 빌리지라는 건물이 별도로 있어 거기에서 훈데르트바써의 작품들을 감상하고 기념품들을 구입할 수 있다.
방문하고 나서 내 마음에 울림과 감동이 컸나보다.
10년 전 기억인데도 그림을 그리고 사진들을 한 장 한 장 넘겨보다 보니, 마치 지난여름 다녀온 듯하다.
암스테르담 운하지구의 좁고 긴 집들…
그림도구 : Tayasui Sketches
2017년 6월.
친구들과 암스테르담에 놀러갔었다.
1박 2일의 짧은 일정인데, 꼭 들러봐야 할 곳이 많은 도시라 무척이나 바쁘게 돌아다녔던 기억이 난다.
운하의 도시에서 유람선을 안타면 안될것 같아서 첫날의 마지막 일정으로 유람선을 탔다.
배 안에서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암스테르담의 곳곳을 둘러보는데, 운하에 면해 있는 집들이 마치 동화 속 집들처럼 예뻐 보였다.
이 곳의 집들은 여타의 유럽 집들과는 다른 분위기를 풍기는 듯 보였다.
자세히 보니 확실히 달랐다. 집의 입구 쪽 너비가 좁았다.
일반 유럽 집의 2분의 1정도 밖에 안되는 것 같았다.
한 거리에 다양한 집들이 더 많이 들어서 있어서(폭이 좁으니까), 전반적인 느낌이 비현실적이고 동화속 이미지처럼 보이는 듯 했다.
나중에 암스테르담 집들이 좁은 이유를 찾아보니, 세금을 적게 내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운하가 개발되던 17세기 경, 당시 집에 대한 세금을 전체 면적이 아니라, 땅 면적만 계산했던 모양이다.
그래서 땅의 면적을 줄이기 위해 좁고 높은 집들을 지었다고…
암스테르담은 살면서 총 3번을 방문했는데, 운하지구의 집들을 자세히 본 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운하지구의 특이한 집들의 내부 구조가 너무 너무 궁금한데, 실제로 들어볼 기회가 없었다는 게 너무 안타까웠다.
하지만 실제로 내부를 보게 된다면, 어쩌면 내 생각과는 달리, 사람 사는 데 다 거기서 거기라 별반 큰 차이가 없을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