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을 읽고
오늘은 지금 막 다 읽은 책 <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을 소개해 볼까 합니다.
이 책의 저자는 생화학자이자 서울시립과학관 관장님이신 이정모님이십니다.
이 분을 처음 알게 된 건 <판타스틱 과학책장>이라는 책 덕분이었는데, 글이 얼마나 재밌는지 생전 관심이 1도 없었던 공룡에 관심을 가지게 될 정도였습니다.
그리고 얼마 전에 <과학하고 앉아있네> 시리즈 중 제 1권 <이정모의 공룡과 자연사>까지 읽었더랬죠. ^^
그러니 지금 소개하려는 이 책을 제가 다음 순서로 읽은 건 매우 자연스러운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양한 생물이나, 우주의 행성, 자연의 법칙 등에 대해서 자신의 개인적 경험까지 곁들여가며 어렵지 않게 설명해 준다는 점이 이 책의 장점입니다.
거기에 더해 마무리 부분에서는 우리나라의 정치와 사회에 대한 일침 한방씩 날려주시는데 심각한 방식이 아니라 매우 유머러스하게 날리시기 때문에 통쾌하기도 하고 반성하게 되기도 하는 반전의 재미가 있습니다.
서문에는 “과학은 삶의 태도다” 라는 제목이 붙어 있습니다.
칼 세이건은 “과학은 단순히 지식의 집합이 아니다. 과학은 생각하는 방법이다.”라는 말을 했다고 합니다. 물리학자 김상욱 교수도 같은 의미로 “과학은 지식의 집합이 아니라 세상을 대하는 태도이자 사고방식”이라고 했고요.
과학이 삶의 태도 혹은 생각하는 방법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우리 모두는 과학적으로 살아야겠지요.
그게 우리 사회가 합리적인 사회가 될 수 있는 유일하고도 가장 합리적인 길일 것입니다.
책 본문 중에는 논어의 말씀 한 구절이 인용됩니다.
“믿음을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남을 해롭게 한다.”
(호신불호학(好信不好學)이면 기폐야적(其蔽也賊)이라.)
믿기만 좋아하고 그에 대해 공부하지 않으면, 그게 바로 사회의 문제가 된다는 뜻이겠지요.
공부의 시작은 자기 믿음이나 사회의 믿음에 대한 의심 혹은 의문에서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합니다.
의심하고 의심하고 의심하라.
그게 공부의 시작이고, 그게 타인에게 휘둘리지 않을 수 있는 무기이고, 또 과학적인 태도이고, 바른 삶의 태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러고 보니 의심하고 질문하기를 좋아하는 저는 역시 어쩔 수 없는 회의주의자인가 봅니다.
댓글 한 개
핑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