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감상문

“유럽문화사1”과 “그랜드투어”를 읽고

내가 정한 올해 독서 테마는 유럽이다. 유럽은 흥미로운 땅덩어리다. 유럽 안에는 여러 국가들이 있고, 국경도 존재하지만, 전 세계 안에서 자신들을 위치를 규정할 때에는, 각 국의 국민보다는 유럽인으로 규정하길 좋아하는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유럽연합도 탄생할 수 있었을 것이다.

유럽은 이동이 편리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물론 알프스산맥에 가로 막힌 지역도 있었겠지만, 그것이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 같은 이동상의 큰 문제를 야기하지는 않은 것 같다. 그 덕에 문화가 전파되기에도 용이했고, 한번 형성된 문화 시장이 그 크기를 확장하기에도 유리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문화를 이야기 할 때 유럽문화를 다 함께 다루는 것이 이치에 맞는 것 같다.

먼저 “유럽문화사1”은 런던 대학교 퀸메리 칼리지에서 유럽 비교사 교수로 재직 중인 도널드 서순(Donald sassoon)이라는 분이 썼다. 제목만 봐도 알겠지만, 내가 읽은 부분은 1권이다. 전체 분량은 5권이다. 1권만 해도 분량이 어마어마하고 백과사전식 병렬 지식으로 가득차서 읽는데 꼬박 한 달이 걸렸다. 앞으로 4권을 더 읽어야 한다니 이를 어쩌나 싶지만, 사실 재밌기 때문에 다음 권들이 기대도 된다.

1권은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의 출판문화와 공연문화에 대해 다룬다. 소설에 대해서 많은 장을 할애하고 있다. 오늘날엔 거장으로 추앙받는 발자크가 당시에는 저급소설을 쓰는 전업 작가로서, 사회에 인정을 잘 받지 못했던 사연들을 비롯하여 당시에는 저급한 문화로 여겨지던 소설이 어떻게 문학 장르에서 세력을 갖게 되었나. 귀족들만 즐기던 고급문학이 어떻게 대중에게 퍼지게 되었나. 소설의 시장은 어떻게 커져갔나. 전업 작가들은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나. 독자층은 어떻게 넓어지게 되었나. 인쇄기술을 어떻게 발전되었나. 등등. 재미난 이야기가 한 가득이다. 단, 병렬식으로 계속되는 정보에 읽다가 지칠 위험도 있다. 어차피 모든 정보를 머리에 다 넣을 수는 없고, 나중에 필요할 때마다 다시 찾아봐야만 하는 그런 책이다.

이 책에서는 소설 중에서도 특히, 최초의 역사소설 작가인 월터 스콧이 유럽에서 얻은 명망과 그 영향력에 대해 길게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을 읽고 나면 월터 스콧의 “아이반호”를 다시 읽고 싶어질지도 모른다. 적어도 나는 그랬다. 초등학교 때 읽고 그 이후 읽은 적도 없고 내용도 전혀 기억이 안 나는데 어째서 재밌었던 기억은 남아있을까?

책의 뒷부분에는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유행했던 공연 예술인 음악, 특히 오페라와 연극에 대해서도 상세히 알려준다. 공연 예술은 특이하게도 귀족들만 즐기던 시기에는 진중하게 감상하던 장르가 아니었다고 한다. 귀족들은 박스석 안에서 자기들끼리 대화를 나누는 등 사교적 목적이 더 많았다고 한다. 신흥 브루주아들과 대중들이 공연문화를 즐기게 되고, 예술 애호가인 딜레탕트들이 생기면서 공연 예술은 진정으로 감상을 목적으로 하게 되었다. 참 아이러니하다.

그리고 18세기 유럽에 대해 더 편하게 읽을 책을 한 권 추천하자면,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신 설혜심 교수의 “그랜드투어”를 권하고 싶다. 그랜드투어는 18세기 유럽에서 어린 청년이 교육의 일환으로 프랑스와 이탈리아 등을 여행하던 관행이다. 우리가 이름만이라도 아는 토머스 홉스, 애덤 스미스, 볼테르, 괴테 등 수많은 유럽 지성들도 이 관행에 동참하였다. 이 여행은 유럽 각 나라를 다니며 각 국의 궁정에 초청받아 귀족의 매너를 배우고, 외국어를 배우고, 건축과 미술품을 감상하며 심미안을 기르고, 유럽 전체를 아우르는 코스모폴리탄을 키우는 엘리트 교육 이었다. 물론 청년들이 어린 나이에 집을 떠났기 때문에 부작용도 만만치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요즘은 전 세계의 많은 젊은이들 역시 그랜드투어를 하고 있다. 여행사에서 제공하는 유럽여행 패키지가 바로 이 그랜트투어의 루트와 거의 비슷하고, 혼자 하는 배낭여행도 거의 비슷한 경로를 거치기 때문이다.

이젠 귀족 자제가 아니어도 전 세계를 돌 수 있으니 좋은 세상에 태어난 걸 감사한다. 세계 여행도 좋지만 가장 중요한 건 세계를 돌면서 코스모폴리탄으로서의 정체성을 갖는 게 아닐까.

(원고지 11.7장)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